Exhibition Environmental Studio
혁신과 융합을 통한 창의 전시공간 구현
전시 디자인 프로젝트는 전시 디자인 학과 학생들에게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전시 공간 디자인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핵심 과목입니다.
이 과목은 단순히 전시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넘어, 다양한 전시 기술과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전시 공간을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NCS 인재양성유형 :
전시디자이너
NCS 핵심역량
전문성 | 통합적사고 | 소통
직무능력단위
전시디자인 기획(KCS-0802010303_16v1)
교수법
b. 실습 c. 발표 e. 팀프로젝트
평가방법
a. 포트폴리오 E. 사례연구 k.구두발표
캡스톤디자인 지원비 사용지침
지원가능항목
시제품제작비 : 재료비, 장비대여. 영상소스 구입, 음원구입, 3D출력물, 목업, 인쇄물, 도메인 구입. 모델료(성우) 등
전문가활용비 : 자문비. 특강
성과전시지원비 : 현수막. 배너. 리플렛. 포스터. 전시공간대여. 전시 필요 물품 등
지원금 구매 불가 항목
(팀 또는 학과)회의비. 도서. 유가증권(상품권. 우표), 전시관람비. 교통비(운송비). 기자재(폰트 및 소프트웨어). PC부품 및 IT완제품, 전산소모품 (USB, 외장하드, RAM,마우스, 키보드 등)
※단, 기자재 및 IT완제품 단기 대여 가능
1학기 구성내용 (캡스톤디자인)
Module.1 전시디자인 개론
전시 디자인의 중요성
전시의 종류와 특징
전시 디자인 기본 개념 및 원칙
Module.2 [기본설계 ] 전시공간 설정
관심 분야 및 사회적 이슈를 바탕으로 팀별 프로젝트 주제 선정
주제 선정 기준 및 방법 설명
팀별 토론 및 주제 발표
Module.3 [기본설계 ] 전시방향설정
문제 정의 및 분석
선정된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 및 분석
관람객 니즈 파악 및 문제 정의
벤치마킹을 통한 전시 디자인 사례 분석
Module.4 [기본설계 ] 디자인 전개
아이디어 발상 및 구체화: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등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스토리보드, 콘셉트 모델 제작을 통한 아이디어 구체화
팀별 아이디어 발표 및 피드백
공간 구성, 흐름, 동선 계획
전시 시각 디자인 및 그래픽 디자인 개발전시 기법 및 매체 선정 및 활용
3D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시 공간 시각화
Module.5 [실시설계 및 전시]
도면작성
물량산출 및 내역
결과 보고서 작성
2학기 구성내용 (캡스톤디자인)
Module.6 전시디자인 관련 공모전
아이디어 발상 및 구체화
공간 구성, 흐름, 동선 계획
3D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시 공간 시각화
디자인설명서
설명패널
프레젠테이션 (온라인)
Module.7 졸업전시 공간연출 및 관리운영
전시 기획
전시 공간 디자인 및 연출
전시징치 및 미디어 제작
전시 설치 및 운영
Module.8 전시 결과 분석
문제점 분석 및 개선계획
Exhibition Media Design
전시공간에 XR 활용한 실감형 전시환경과 콘텐츠를 구축
전시 미디어 디자인 과목은 AR/VR 기술을 활용하여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적합합니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미래 전시 디자인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전문적인 전시 디자이너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NCS 인재양성유형 :
전시디자이너
NCS 핵심역량
전문성 | 통합적사고 | 소통
직무능력단위
전시디자인 기획(KCS-0802010303_16v1)
교수법
b. 실습 c. 발표 e. 팀프로젝트
평가방법
a. 포트폴리오 E. 사례연구 k.구두발표
1학기 구성내용
Module.1 AR 전시의 이해
AR 및 VR 기술의 정의, 특징, 종류, 활용 분야
AR 및 VR 기술의 전시 디자인 적용 가능성 및 효과
국내외 성공적인 AR/VR 전시 사례 분석 및 미래 전망
Module.2 AR 전시
Exhibition graphics and AR
Photo zone and AR
QR Photo zone and AR
Exhibition Space and AR
AR 캐릭터프레젠테이션 (QR네임카드)
Module.3 AR 전시연출 및 운영
야외 전시공간 AR 실습
실내 전시공간 AR 실습
Module.4 AV전시의 기초
VR 전시공간 모델링
Twinmotion 기초
2학기 구성내용
Module.5 3D SCAN
3D 스캔
메타 도슨트
Module.6 VR 전시
전시공간 VR 1 : Twinmotion
전시공간 입체영상
전시공간 360
전시공간 VR 시뮬레이션 : 메타퀘스트
전시공간 VR 2 : Enscape *변경 될수 있음
VR 시뮬레이션 : 메타퀘스트
Module.7 VR 전시연출 및 운영
전시미디어 실습
Exhibition Environmental Studio
혁신과 융합을 통한 창의 전시공간 구현
전시 디자인 프로젝트는 전시 디자인 학과 학생들에게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전시 공간 디자인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핵심 과목입니다.
이 과목은 단순히 전시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넘어, 다양한 전시 기술과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전시 공간을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NCS 인재양성유형 :
전시디자이너
NCS 핵심역량
전문성 | 통합적사고 | 소통
직무능력단위
전시디자인 기획(KCS-0802010303_16v1)
교수법
b. 실습 c. 발표 e. 팀프로젝트
평가방법
a. 포트폴리오 E. 사례연구 k.구두발표
캡스톤디자인 지원비 사용지침
지원가능항목
시제품제작비 : 재료비, 장비대여. 영상소스 구입, 음원구입, 3D출력물, 목업, 인쇄물, 도메인 구입. 모델료(성우) 등
전문가활용비 : 자문비. 특강
성과전시지원비 : 현수막. 배너. 리플렛. 포스터. 전시공간대여. 전시 필요 물품 등
지원금 구매 불가 항목
(팀 또는 학과)회의비. 도서. 유가증권(상품권. 우표), 전시관람비. 교통비(운송비). 기자재(폰트 및 소프트웨어). PC부품 및 IT완제품, 전산소모품 (USB, 외장하드, RAM,마우스, 키보드 등)
※단, 기자재 및 IT완제품 단기 대여 가능
1학기 구성내용 (캡스톤디자인)
Module.1 전시디자인 개론
전시 디자인의 중요성
전시의 종류와 특징
전시 디자인 기본 개념 및 원칙
Module.2 [기본설계 ] 전시공간 설정
관심 분야 및 사회적 이슈를 바탕으로 팀별 프로젝트 주제 선정
주제 선정 기준 및 방법 설명
팀별 토론 및 주제 발표
Module.3 [기본설계 ] 전시방향설정
문제 정의 및 분석
선정된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 및 분석
관람객 니즈 파악 및 문제 정의
벤치마킹을 통한 전시 디자인 사례 분석
Module.4 [기본설계 ] 디자인 전개
아이디어 발상 및 구체화: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등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스토리보드, 콘셉트 모델 제작을 통한 아이디어 구체화
팀별 아이디어 발표 및 피드백
공간 구성, 흐름, 동선 계획
전시 시각 디자인 및 그래픽 디자인 개발전시 기법 및 매체 선정 및 활용
3D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시 공간 시각화
Module.5 [실시설계 및 전시]
도면작성
물량산출 및 내역
결과 보고서 작성
2학기 구성내용 (캡스톤디자인)
Module.6 전시디자인 관련 공모전
아이디어 발상 및 구체화
공간 구성, 흐름, 동선 계획
3D 모델링,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시 공간 시각화
디자인설명서
설명패널
프레젠테이션 (온라인)
Module.7 졸업전시 공간연출 및 관리운영
전시 기획
전시 공간 디자인 및 연출
전시징치 및 미디어 제작
전시 설치 및 운영
Module.8 전시 결과 분석
문제점 분석 및 개선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