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txt","text":"전시디자인.com","font_size":30,"font_weight":"bold","font_family_ko":"Noto Sans KR","font_family_en":"Barlow","color":"#ff2430","letter_spacing":0}
  • HOME
  • 대상별 맞춤
  • 교수별 수업
  • 수업결과물
  • 산학협력
  • 학과활동
  • 학과생활
  • {"google":["Barlow","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
    ×
     
     
    섹션 설정
    {"type":"txt","text":"계원전시","font_size":20,"font_weight":"bold","font_family_ko":"Noto Sans KR","font_family_en":"Barlow","color":"#000000","letter_spacing":0}
  • HOME
  • 교수별 수업
  • 수업결과물
  • 산학협력
  • 학과활동
  • 포트폴리오
  • 학과생활
  • 학년별 맞춤
  • 교수전용
  • 이곳을 클릭하여 텍스트를 수정하세요
    Please enter

    E

    text

    Exhibition Design

    전시콘텐츠디자인이란

    What is exhibition design?

    전시콘텐츠디자인이란?

    전시 콘텐츠 디자인은 전시회나 박람회에서 관람객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시각적 요소와 공간을 계획하고 구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1. 주제 설정 : 전시의 주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설정합니다.
    2. 전시그래픽디자인 : 그래픽, 이미지, 텍스트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콘텐츠를 만듭니다.
    3. 공간 배치 : 전시 공간의 레이아웃을 계획하여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하고, 편리한 관람을 유도합니다.
    4. 조명 및 색상 : 전시물의 강조와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조명과 색상을 선택합니다.
    5. 인터랙티브 요소 :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고 흥미를 높이기 위한 인터랙티브한 디자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전시 콘텐츠 디자인은 관람객이 주제를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목표는 관람객이 전시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주제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전시 콘텐츠 디자인은 예술, 과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어떤 분야에서 전시 콘텐츠 디자인이 활용되나요?

    전시 콘텐츠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1. 박물관 : 역사, 과학, 자연사 박물관 등에서 전시물의 정보와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기업 전시회 :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전시회에서 브랜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3. 미술 및 예술 : 미술관, 갤러리, 아트 페어 등에서 작품을 효과적으로 전시하고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됩니다.

    4. 과학 및 기술 : 과학 전시회나 기술 박람회에서 혁신적인 기술이나 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데 사용됩니다.

    5. 문화 행사 : 지역 축제나 문화 행사에서 지역의 역사, 전통, 문화를 소개하는 전시 콘텐츠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6. 교육 : 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학생들에게 특정 주제를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교육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처럼 전시 콘텐츠 디자인은 정보 전달과 관람객의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시콘텐츠디자인에서 사용하는 도구나 프로그램은 어떤 게 있나요?

    1. 그래픽 디자인 소프트웨어

    Adobe Illustrator : 벡터 그래픽 디자인으로 전시그래픽 및 시안제작

    Adobe Photoshop : 전시공간 이미지 편집 및 합성.

     

    2. 3D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SketchUp : 간단한 전시공간 3D 모델링.

    AutoCAD :  전시공간 설계에 사용되는 정밀 도면 작성 도구.

    3ds Max : 고급 3D 모델링 및 렌더링.

    TWINMOTION :  전시공간 실시간 시뮬레이션 및 동영상 제작

    D5 RENDER : 전시공간 실시간 시뮬레이션 및 동영상 제작

     

    3. 인터랙티브 디자인

    Adobe Aero : AR전시를 제작.

    트윈모션 :  VR전시 제작

    D5 디자인 : VR전시 제작

     

    4. 프레젠테이션 및 전시 스토리보드

    Microsoft PowerPoint : 전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제작.

     

     

     

    전시콘텐츠디자인 관련 자격증

     

    전시디자이너

    구분 : 민간자격증
    발급기관 : 한국전시디자인협회
    등록번호 : 2019-001105

    주무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전시연출전문가

    구분 : 민간자격증
    발급기관 : 한국전시문화산업협동조합
    등록번호 : 2018-001027

    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국제전시기획사

    구분 : 민간자격증
    발급기관 : 한국전시주최자협회
    등록번호 : 2016-001970

    주무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VMD전문가

    구분 : 민간자격증
    발급기관 : 한국직업능률협회
    등록번호 : 2020-003847

    주무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google":["Barlow","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google":["Barlow","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
    {"google":[],"custom":["Noto Sans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