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방>

여성 독립 운동가 14인 강주룡, 권기옥, 박자혜, 박차정, 김마리아, 남자현, 정정화, 김옥련, 김향화, 박진홍, 동풍신, 오광심, 윤희순, 이병희의 초상 및 생애를 보여주고 상징적인 입체 조형물과 함께 그들을 추모를 할 수 있는 공간

[이유림, 진솔, 차주향]

기존의 정보 전달만 이루어지는 방식에서 나아가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여 보다 쉽게 역사 속에서 충분히 주목 받지 못한 수많은 여성 독립 운동가의 이름을 알리고, 역사 속에 살아 숨쉬었던 그녀들을 찾아 소통해 그들의 정신을 기억하고, 함께 할 앞으로의 날들을 기약한다.

Concept

"같이 기억하고 기약하다."

- 여성 독립 운동가 14인의 초상과 정보를 붉은 방 컨셉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전시 코너 분위기를 연출

- AR을 사용해 초상에서 표정의 움직임을 주고 독립 운동 관련 음악을 이어폰을 통해 재생하여 생동감있게 연출

-전시장 곳곳에서 14인의 여성 독립 운동가를 찾아 모음집 어플에 모아 관람객과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며 전시장 밖을 나가서도 그들을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함

전시 목적 및 목표

역사  속에서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수많은 여성독립운동가의 이름을  알리고,  과거  살아  숨쉬었던  그녀들을 찾아 소통해 그들의 정신을 기억한다.

전시 코너 

 붉은 방  메인코너

 

여성독립운동가의 삶을 추모하는 공간으로 흐려저가는

나무판자속의 추상화된 초상 속에서

강인한 3인의 여성독립운동가를 발견할 수 있다.

 

 

전시콘텐츠

- 나무판자 속에 흐릿해져 가는 여성독립운동가들을 직접 찾아 그들의본래의 모습을 마주함 

- 어록 관람

- 모음집에 정보와 이미지를 저장

 

 

AR 체험

1. 설치된 나무 판자 중 3명의 여성 독립운동가 발견  (권기옥, 김마리아, 정정화)

2. 어록을 통해 그녀들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느낌

3. 발견한 독립운동가를 모음집에 저장

 만남  서브코너 1

 

6점의 초상이 전시되어 있다.

ar을 통해 움직이는 초상을 만날 수 있다.

그녀들의 움직이는 표정과 목소리에서 독립을 향한 의지와 정신을 느껴볼 수 있다. 

 

전시콘텐츠

- 초상화에 움직이는 표정을 부여해 더욱 생동감 있는 전시 관람

- 독립 운동 노래를 재생해 목소리 연상 및 분위기 고조

- 모음집에 정보와 이미지 저장

-빛과 그림자를 이용하여 이름 명시

 

AR 체험

1. 움직이는 표정 관찰

2. 생생한 목소리로 노래 감상 (이어폰 사용)

3. 여성 독립운동가 6인 발견(김옥련,   안경신, 박진홍,  김명시,   강주룡, 정칠성)

4. 모음집에 정보 및 이미지저장

 기억  서브코너 2

 

전시를 관람하며 만났던 14인의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다시 마주한다.

함께 사진을 찍어 추억을 세겨 기억하고 공유할 수 있다. 

 

 

전시콘텐츠

- AR을 사용해 핸드폰 속에 독립운동가가 나오게 되면 함께 사진 촬영

-바닥에 사진을 찍는 사람과 찍히는 사람의 위치 동시 표시

-사진 촬영 구역의 벽에 함께 사진을 찍는 독립 운동가의 이름 명시

 

AR 체험

1. 원하는 독립운동가를 선택해 함께 사진 촬영

2. 전시를 관람하며 발견했던 여성 독립운동가와의 추억을 만들고 그들을 오래 기억할 수 있게 함

수용자에게 요구하는 행위

1. Ar어플을 활용하여 여성 독립 운동가의 형상과 만남

2. 2m 50cm 떨어진 지정 위치에서 ar체험

3. Ar 어플을 활용한 생동감 있는 초상화 감상

4. 이어폰을 활용한 청각적 체험

5. Ar 형상과 함께 사진 촬영 및 기록

6. 어플을 통한 정보 습득과 공유

전시내용의 연결성

'독립 운동가를 발견하고 인지한다.'

-전시 관람을 통해 우리의 인식 속에 묻혀 기억되지 못하는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14인의 여성독립운동가를 관람객의 손으로 발견한다.'

-AR 콘텐츠를 통해 여성독립운동가를 직접 마주함으로써 그들의 숨결과 독립에 대한 열정을 생생하게 느낀다.

'전시를 관람하며 얻은 정보(여성 독립 운동가의 얼굴, 이름, 생애, 어록)를 공유하고 향유할 수 있다.'

-전시를 관람하며 찾은 독립운동가를 모음집에 수집한다. 기억(정보 및 사진)을 집으로 가져가고 주변 사람들에게 공유하며 사회에서 인정받고 우리의 인식에 당연하게 자리잡을 날을 기약한다.

VR 공간

공간 세부 연출

AR 콘셉트

‘같이 기억하고 기약하다’

- 관람객이 직접 독립운동가를 발견하고 인지한다.

- 전시를 관람하며 얻은 정보(여성독립운동가의 얼굴, 이름, 생애, 어록)를 기억하고 공유할 수 있다

AR 어플 활용

(AR 어플 예시 이미지)

-전시 장 내부에서 AR 체험 활동을 하며 여성 독립 운동가 14인 발견해 모음집을 완성한다.

-찾은 초상화를 어플에 저장 해 관련된 정보 혹은 어록 등을 감상, 간직, 공유하여 그들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다.

AR 콘텐츠

 - 붉은 방 AR 

(AR 일러스트)

붉은 방 속 여성독립운동가 찾기

 

1.지정된 자리에 서서 나무 판자의 이미지를 인식

2.나무 판자 앞에 독립운동가의 전신 초상이 나타남

3.시간 차로 초상화 위에 독립 운동가의 어록이 나타남

4.찾은 독립운동가 이미지를 어플에 저장 후 정보 및 어록 감상

(AR 예시 영상)

(AR 인식 이미지)

-  만남 AR 

(AR 일러스트)

얼굴 움직임과 독립 운동 노래 감상

 

1. 초상화 인식 후 초상화의 표정 변화 및 이미지의 움직임 관찰 

2. 음표 터치 후 음악재생

3. 찾은 독립운동가 어플에 저장 후 정보 및 어록 감상

AR 사운드

여성 독립 운동가를 기억하는 노래 감상(이어폰 사용)

AR 체험 시 음표 이미지 터치 상호작용 시 독립운동 노래 재생

- 기억 AR

(AR 일러스트)

전신 초상화와 함께 사진 찍기

 

1.바닥에 표시된 숫자 이미지를 인식

2.사진을 찍는 사람과 찍히는 사람 모두 바닥에 표시된 곳에 서도록 유도

3.AR로 나타난 초상들과 사진 찍기 

(AR 예시 이미지)

- 초상 모음집 AR

(AR 일러스트)

전시장 곳곳에 위치한 초상화의 AR 형상 찾아 모음집 어플 완성하기

 

1.벽면에 붙여 있는 초상화 인식

2.나온 전신 초상화 감상

3.모음집 어플에 저장 후 정보 및 어록 감상

(AR 예시 이미지)

(AR 인식 이미지)

- 그래픽 월 AR

붉은 방 패턴을 활용한 태극기 형상

 

1.벽면 패턴 인식

2.인식 후 화면을 비추면 전시장 내부에 띠 형태로 둘러져 있는 패턴들이 튀어나와 모여 하나의 큰 태극기 형상을 이룸

(AR 예시 이미지)

(AR 인식 이미지)

{"google":[],"custom":["Noto Sans KR","Nanum Square","Nanum Myeongjo"]}{"google":["Barlow","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