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초상

팝아트의 대가 앤디워홀의 유명한 작품들에 비해 사람들이 알지 못했던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전시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관람객의 지적호기심을 충족시켜준다

[류현지/강슬기/장가윤]

상류층부터 소외집단까지 다양한 계층을 캔버스로 담아냈던 '사회적 아티스트 앤디워홀'을 주제로 1인 미디어 공간을 구축하여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통해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작가에 대한 지식을 고취하기 위해 사회적 아티스트였던 그가 사용했던 작업기법도 함께 주제로 다룬다.

Concept

'무대 속 작업실(팩토리)'

앤디워홀의 창고형 작업실을 컨셉으로 한다.

팩토리=공장 이라는 의미에 맞게 실크 스크린 기법을 통해 마치 공장에서 물건을 생산하듯이 기계처럼 예술 작품들을 쏟아내는 것이 특징인것을 전시장에 녹여내고자 하였다.

팩토리의 특징을 초상화존 무대위의 AR공간에서 함께 연출한다.

수용자에게 요구하는 행위

1. 원화 작품 감상,작품과 앤디워홀의 연결성과 의미 이해

2. AR을 이용하여 원화 작품 작업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습득

3. 태블릿을 활용한 앤디워홀 드로잉 체험

4. 자신의 드로잉을 매직미러로 전송하여 시각적 체험

수용자들은 어떤 행위를 할까?

 

긍정적인 행위

1.전시실 입장과 동시에 AR속 앤디워홀을 감상하며 전시컨셉을 이해하고 흥미를 느낀다.

2. 원화감상과 동시에 추가적인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지적호기심을 충족한다.

3. 드로잉체험을 통해 앤디워홀의 작품에 대해 자연스럽게 연구하며 상호작용 할수 있다.

 

부정적인 행위

1.전시실 입장전, 태블릿 소지 안내표지를 보지 못한 관람객은 AR 관람을 뒤늦게 알아차릴 수도 있을 것 같다.

2. 원화를 감상하던 도중 뒤늦게 태블릿을 가지러 이동할수도 있다.

수용자들이 AR.VR콘텐츠를 사용하는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행위는?

1. 앤디워홀의 초상화 앞에서 준비된 태블릿을 화면 액자 프레임에 맞춘다

2. 프레임 속 화면이 하얀 도화지로 덮어지며 앤디워홀이 걸어나온다

3. 걸어나온 앤디워홀의 작업과정을 보여주며 초상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줌으로써 정보를 습득한다

4. AR태블릿을 들고 매직미러앞에 서 자신이 그린 드로잉 코드를 선택한다

5. 선택한 자신의 드로잉과 초상화 속 인물이 함께 겹처 나와 비교한다

전시내용의 연결성

처음 원화 존에서 앤디워홀의 원화를 날것으로 감상함과 동시에 태블릿을 이용, ar을 매체로 해당 작품의 설명을 앤디워홀에게 직접 시각적, 청각적인 방식으로 전달 받을수 있도록 한다.기본적인 앤디워홀의 정보 습득 후, 매직 미러 존에서는 관람자가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작품 체험을 경험할수 있다. 체험 후, 본인의 작품을 블루투스를 통해 전달 받을수 있다.

수용자가 전시체험행위를 통해 느끼는 전시목표 달성률은? (%)

80%

 AR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시 목표에 도달했다고 생각했으나, 선택적 체험이라는 특성상 전시 관람 목적이 원화 감상인 관람객들에게는 불필요한 요소가 많다고 생각될 수 있다.

{"google":[],"custom":["Noto Sans KR","Nanum Square"]}{"google":["Barlow","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