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와 컷아웃

말과 어릿광대, 공중 곡예사, 흩날리는 색종이 조각.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색감으로 보기만 해도 서커스의 한껏 들뜬 분위기가 느껴지는 컷 아웃 기법의 정점과도 같은 ‘재즈(Jazz)’ 시리즈의 자유롭고 변화무쌍한 매력을 하나의 스토리 형식으로 전달하며 활기와 행복을 전달하고 싶어하던 앙리마티스의 가치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유현영, 이윤정, 장서연]

앙리마티스의 작품 철학 중 행복과 긍정을 잃지 않고 삶의 조각이 합쳐져 하나의 스토리가 된다는 것을 입체적인 방식인 ar로 생생하고 아름답게 보여주어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Concept

'살아 움직이는 재즈'

종이를 잘라 만드는 ‘컷아웃’기법을 활용하여 재즈 복장인 캉캉스커트를 연상하게 하는 오브제 형태로 관람객들이 그 안에 들어가

앙리 마티스의 작품과 가치관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목표

 

마티스의 작품 세계에 빠져들어 같이

노래하고 춤추며 '활기'와 '행복'을 찾아가자

앙리 마티스의 작품을 일방적인 정보전달의 방식에서 벗어나 공감+예술+경험 이야기가 결합된 복합 체험 구성으로 관람객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체험/스토리형 전시로 보여준다.

수용자에게 요구하는 행위

 1. AR을 활용한 전시설명을 보게 한다. --> 흥미, 관심을 유도한다.

2. AR중 URL을 통해 앙리마티스의 서사 영상 감상한다. → 감성/지적 욕구를 충족 시킨다.

2. 블루누드 시리즈 작품 감상 --> 원화 감상욕구 충족(지적욕구)시킨다.

3. 재즈시리즈 감상 --> 원화 감상욕구 충족(지적욕구)시킨다.

4. 작품 AR 체험(인터렉티브 체험) --> 흥미, 관심을 유도한다.

5. 인터렉티브 발판 체험 --> 흥미, 관심을 유도한다

6. 앙리마티스 명언/컷아웃 제작과정 영상 (AR을 활용한 작품설명(컷아웃) 영상 관람) --> 감성/여운을 남긴다

수용자들은 어떤 행위를 할까?

1.안네데스크에서 AR프로그램 설치

2.이동 --> A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시코너 설명& 벽쪽으로 유도

3.AR 프로그램을 활용해 앙리마티스 서사 영상 감상

4.블루누드 시리즈 관람, 재즈시리즈 관람

5.(보는 방법:AR픽토그램 위치에서) 미작동시(외부) -->  AR체험 (사진촬용, 컷아웃 공연관람)

6.오브제 회전을 기다리거나 사진을 찍음--> sns 공유 등

7.내부에 들어감 --> 월 영상, 바닥센서 재즈스텝 밟기,

8.앙리마티스의 작업실에서 명언/작업내용 감상 --> 코너 나가기 전에 여운을 느낄 수 있도록

수용자들이 AR.VR콘텐츠를 사용하는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행위는?

1. 메인코너- AR 사운드(이어폰사용), 커튼 터치

- 사진촬영 영역 / 춤추는 컷아웃 공연 영역설정을 바닥 그래픽으로 나눠주어 쾌적한 관람을 한다

-AR어플을 실행시켜 화면에 나오는 커튼을 제치면 AR 캐릭터들이 나와 춤추고 움직이는 것을 감상한다.(이카루스 : 별들과 같이 하늘을 떠다닌다 /라군 : 꽃잎이 뿌려지듯 흩날린다 /서커스 :서커스에서 나오는 종이조각이 공중묘기를 한다 / Pieroot’s runeral : 말이 튀어나와 발을 구르는 모션을 한다.

-춤추는 AR캐릭터들과 같이 사진을 찍는다

- 사운드/재즈 음악이 들려온다, 말발굽 소리, 말 울음소리(Pieroot’s runeral)

2. 서브코너- AR동선유도 및 서사 설명

-AR어플을 활용하여 전시코너 설명과 앙리마티스 서사 영상을 보고 동선을 따라 이동한다

3. 서브코너- AR영상

– 앙리마티스의 작업실의 물체(붓,물감 등) 를 비치면 컷아웃 영상을 시청한다 (제작과정)

- 앙리마티스의 작업실을 돌아다니면서 명언을 찾아본다.

전시내용의 연결성

작품 관람에 방해가 되지않는 AR프로그램 활용으로전시 컨텐츠 간의 스토리가 매끄럽고 연결이 원활하다.

수용자가 전시체험행위를 통해 느끼는 전시목표 달성률은? (%)

88%

•- 작품관람과 AR체험/인터렉티브 체험을 통해 시각, 청각, 촉각의 감각들을 활용해“ 마티스 작품 세계에 빠져들어 같이 춤추며 활기와 행복을 찾아가자"목표        를 달성했다

•- AR프로그램 외 작품 인터렉티브 매체를 통해 AR체험에 관심도가 낮은 사람에게도 전시를 원활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 작품만을 감상하기위해 방문한 일부 사람들 전시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VR

앙리마티스의 세계를 구현

앙리마티스를 연상케하는 잘린 캔버스로 이뤄진 거침없는 앙리마티스의 선과 형태를 떠올릴 만한 유선이 많이 활용된 공간입니다.

조감도

Detail View

 바닥 인터렉티브 

불이 켜지는 순서대로 밟으며 재즈의 스텝을 춰보도록 하여 사람들의 동작을 자연스럽게 유도합니다.

수용자가 행동반응을 보이지 않더라도 바닥의 버튼이 밟히면 인식장치를 통해 춤추며 나오는 앙리마티스의 작화 종이들을 보면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AR

애니메이션 Gif를 통해 콘텐츠에 생명을 불어넣어주어 AR어플을 실행시켜 화면에 나오는 커튼을 제치면 AR 캐릭터들이 나와 춤추고 움직이는 것을 감상합니다.

AR Concept

'활기'와 '행복'을 느끼다

          • Main corner

라군

 

경쾌한 뛰놀음(잎이 하늘에서 떨어지며 들판에서 아이들이 경쾌하게 뛰어노는 듯한 자유로움과 생동감  을 느낄 수 있다.)

서커스

 

짜릿함의 묘기 ( 묘기를 부리는 사람과 강렬한 색채의 그래픽을 통해 짜릿함과 동심을 느낄 수 있음)

이카루스

 

별을 헤매는 비행 (이카루스가 비행의 즐거움을 통해 과욕이 불러와 떨어지는 모습을 별을 헤매는 듯 춤추며 몽환적인 모습을 통해 느낄 수 있다.)

피에르트의 주동자

 

환상의 나라 (말이 달리고 꽃잎이 휘날리며 환상스럽고 생동감 있는 모습을 느낄 수 있다)

AR GIF

AR시연 영상

          • Sub corner

이미지 컷으로 관람자가 지나갈 때마다 새로운 제작과정의 컷이 나타나며 실제 앙리마티스의 작업공간에 있던 휠체어와 앙리마티스의 명언을 보여줌으로써 여운을 남긴다

제작과정 영상

{"google":[],"custom":["Noto Sans KR","Nanum Square"]}{"google":["Barlow","Libre Baskerville"],"custom":["Noto Sans KR"]}